• Home
  • 이충재인사이트
  • 이충재칼럼
  • 지난 인사이트
  • 공지 사항

김남국 징계 계기, 국회의원 '정직 6개월' 두자

이충재
이충재
- 7분 걸림 -

김남국 의원 징계의결을 위한 표결이 30일로 예정된 가운데 정치권에서 국회의원 징계를 다양화하자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현행 국회법에 경고, 사과, 30일 이내의 출석정지, 제명 등 4가지만 규정돼 있는데 징계 수위 간에 간극이 넓어 실효성이 없다는 게 주장의 근거입니다. 여야 의원들 사이에서는 출석정지 6개월 또는 10개월을 추가하는 방안 등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런 주장은 김 의원 징계를 둘러싼 논란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지난 22일 김 의원 징계의결을 위해 열려고 했던 국회 윤리특위 소위원회가 그의 총선 포기 선언으로 연기된 배경에는 징계 수위에 관한 논란이 깔려있습니다. 앞서 윤리심사 자문위원회가 김 의원에 대해 의원직 제명을 윤리특위에 권고했지만 민주당 내에선 과하다는 반응이 많은 것으로 전해집니다. 일각에선 가상자산 거래 논란이 있는 국민의힘 권영세 의원과의 형평성을 문제삼는 시각도 있습니다. 여당에서도 김 의원을 제명할 경우 권 의원 등에 영향을 줄 거라는 우려가 큽니다.  

굳이 김 의원 사례를 결부시키지 않더라도 그간 정치권에선 '30일 이내의 국회출석정지'는 너무 가볍고 '제명'은 너무 과도해 징계를 통한 제재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습니다. 징계 수위의 차이가 커 징계사유에 맞는 제재를 내리지 못한 대표적인 예가 강용석 전 한나라당 의원 징계입니다. 2011년 국회 윤리심사자문위가 '여성비하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강용석 전 의원에 대해 '제명' 의견을 제출했으나 본회의에서 부결됐습니다. 그러자 부결의 바로 아래 단계인 30일 출석정지에 그칠 수밖에 없어 여론의 거센 반발을 초래했습니다.  

현행 징계 종류는 1963년 국회법 전문개정시부터 규정돼 지금까지 유지돼 왔습니다. 그동안 정치권에선 징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국회법 개정안을 여러 차례 발의했지만 개정까지는 이르지 못했습니다. 2019년 더불어민주당에선 박주민 의원 등 19명이 국회의원 징계종류에 6개월간 수당지급을 정지하는 내용을 추가하는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불발습니다. 앞서 2013년에도 박인숙의원 등 새누리당 의원 10명이 출석정지 기간을 '30일이내' '30일초과 90일이내' '90일초과 180일이내'로 세분화하는 내용의 '의원 징계 세분화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지만 공감대 부족 등으로 무산됐습니다.  

이번에는 사정이 다르다는 반응이 정치권에서 나옵니다. 김 의원의 '코인 논란'으로 의원 징계에 대한 국민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 높아졌습니다. 특히 지금까지 국회 윤리특별위원회에 회부된 상당수의 의원들 징계가 흐지부지된데 대한 비판도 큽니다. 실제 기간이 만료돼 징계를 받지 않거나 상대적으로 경한 징계를 받은 경우가 많았습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이 지난달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제13대 국회부터 지금까지 접수된 징계안 238건 가운데 윤리특위에서 가결된 징계안은 12건으로 5%에 불과했습니다.

징계가 유명무실했던 데는 의원들의 '제 식구 감싸기'가 주로 작용했지만 법안의 실효성 부족에도 원인이 있다는 게 전문가들 지적입니다. 실제 윤리심사자문위는 21대 국회 들어 윤미향 무소속 의원, 이상직 전 무소속 의원, 박덕흠 국민의힘 의원에게도 제명을 권고한 바 있으나 실제 제명된 의원은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징계대상의 행위에 따라 적절한 징계를 할 수 있다면 징계 가결률이 높아지고 신속한 징계도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징계 결정에 시민 참여와 권한이 강화돼야 한다는 요구도 많습니다. 동료 의원들 징계에 소극적인 태도를 경계하기 위해 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윤리심사자문위를 윤리특위 내에 뒀지만 한계가 뚜렷합니다. 경실련 조사에 따르면 제18대 국회부터 현재까지 자문위에서 심사를 거쳐 징계를 요구한 것은 총 28건이지만 단 2건만이 윤리특위에서 징계 처리됐습니다. 전문가들은 자문위에 조사권과 고발권을 부여해 자문위 권고대로 윤리특위가 징계안을 처리할 수 있도록 법을 개정할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경제직필] 선거는 괴벨스를 원한다

이동관 방송통신위원장의 언론관은 편향성을 문제삼고 있지만 보수로의 편향성은 머리속에 없는 듯합니다. 보수 신문과 종편은 중립적, 합리적이라는 잘못된 시각에 근거해 있습니다. 이창민 한양대 교수는 한국 언론의 수익구조와 소유구조가 보수 성향 선호로 달려가는 현실은 애써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이동관의 언론 정상화는 정권의 사익 추구일뿐이라고 질타합니다. 👉 칼럼 보기

[한겨레 프리즘] '이복현 금감원'은 뭘 꿈꿨나

금융감독원의 편드 재검사 부실 논란의 파장이 이복현 금감원장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 원장이 근거도 없이 보도자료에 '라임펀드 특혜성 환매' '횡령 적발' 등을 넣도록 지시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한겨레신문 전슬기 금융팀장은 이번 재검사로 이 원장은 '금융검찰원장'이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고 말합니다. 그동안의 관치 논란도 '잘못된 관치'로 평가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합니다. 👉 칼럼 보기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이충재인사이트

이충재

한국일보 전 주필. 1987년 한국일보에 입사해 사회부장, 편집국장, 수석논설위원, 주필을 역임했습니다. 만 35년 간의 기자 생활을 마치고 2022년 12월 퇴사했습니다. 오랜 기자 경험을 토대로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우리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당신이 놓친 글
김 여사 석박사 학위 취소, 시간문제다
김 여사 석박사 학위 취소, 시간문제다
by 
이충재
2024.10.10
'윤석열표 부실 의대생', 누가 책임질 건가
'윤석열표 부실 의대생', 누가 책임질 건가
by 
이충재
2024.10.8
'김건희 사과'로 덮을 수 없다
'김건희 사과'로 덮을 수 없다
by 
이충재
2024.10.7
윤석열 정부에 저항하는 공직자들
윤석열 정부에 저항하는 공직자들
by 
이충재
2024.10.2
당신이 놓친 글
김 여사 석박사 학위 취소, 시간문제다
by 
이충재
2024.10.10
김 여사 석박사 학위 취소, 시간문제다
'윤석열표 부실 의대생', 누가 책임질 건가
by 
이충재
2024.10.8
'윤석열표 부실 의대생', 누가 책임질 건가
'김건희 사과'로 덮을 수 없다
by 
이충재
2024.10.7
'김건희 사과'로 덮을 수 없다
윤석열 정부에 저항하는 공직자들
by 
이충재
2024.10.2
윤석열 정부에 저항하는 공직자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