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이충재인사이트
  • 이충재칼럼
  • 지난 인사이트
  • 공지 사항

윤 대통령 '외교 설화' 왜 반복되나

이충재
이충재
- 6분 걸림 -

윤석열 대통령의 발언이 하루도 거르지 않고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국내 현안과 관련된 거친 발언도 자주 논란에 휩싸이지만 최근엔 외교안보 관련 사안에서 정제되지 않은 언급으로 혼란을 키우는 모습입니다. 24일엔 윤 대통령 <워싱턴포스트> 인터뷰가 오역 논란으로 번지자 해당기자가 원문을 공개하는 일까지 빚어졌습니다. 외교가에선 이번 한미 정상회담 기간 중 최대 리스크는 윤 대통령의 입이라는 말이 나옵니다.

윤 대통령의 <워싱턴포스트> 인터뷰 발언은 일본에 대한 '저자세' 논란을 부를 소지가 다분합니다. 기자가 공개한 녹취에서 윤 대통령은 "100년 전의 일을 가지고 '무조건 안 된다, 무조건 무릎 꿇어라'라고 하는 이거는 저는 받아들일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2015년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의 담화를 연상시키는 것으로 과거사에 눈감은 채 한일 관계 개선을 내세워 ‘미래’만을 강조하는 윤 대통령의 일방주의 인식이 또다시 드러난 셈입니다.

외교전문가들은 민감한 외교현안에서 윤 대통령의 직설적이고 거친 화법이 독이 되고 있다고 지적합니다. <로이터통신> 인터뷰에서 우크라이나 무기지원 언급은 실제 의도와는 관계없이 과도한 단순화의 오류를 범했다고 입을 모읍니다. 대만 문제에 대해 윤 대통령이 "우리는 국제사회와 함께 힘에 의한 현상 변경에 대해 절대 반대한다"는 언급에서 내용은 차치하고라도 '절대'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말아야 했다는 게 전문가들 얘깁니다. 상황이 급변하는 국제관계에서 지도자가 단언하는 식의 발언은 자충수가 될 수 있다는 겁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 1월 아랍에미리트(UAE) 방문 때도 "UAE의 적은 이란"이라는 발언으로 외교 갈등을 빚었습니다. 복잡한 중동 정세에 무지한 비외교적 발언이 풍파를 일으킨 것입니다. 지난해 9월 뉴욕 순방 때엔 비속어 섞인 말로 '바이든-날리면' 사태를 초래했습니다. 이런 논란이 일어날 때마다 대통령실과 외교부는 "진의와 다르다"고 해명하기에 바쁩니다. 외교적 성과는커녕 대통령 실언 수습에 급급한 모습은 아마튜어 외교의 전형적 모습입니다.

이런 일이 반복되는 가장 큰 이유는 윤 대통령의 평소의 언어 습관에 있다는 게 대통령실 주변의 분석입니다. 검사 시절의 거친 말투를 고치지 못한 데다 웬만한 사안은 자신이 잘 안다는 착각이 잦은 설화를 낳는다고 합니다. 대통령을 보좌하는 참모들 책임이 크다는 지적도 여권에서 나옵니다. 대통령이 상습적으로 말실수를 해온 점을 감안해 참모들이 빈틈없이 연설문을 준비했어야 한다는 얘깁니다. 이번 외신 인터뷰에서도 배석한 참모들이 사안의 민감성을 감안해 윤 대통령 발언을 바로잡았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전직 청와대 참모들은 대통령의 주요 연설이나 언론인터뷰에 앞서 참모들과의 독회(讀會)가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비중있는 행사에 앞서 수석비서관들과 연설문을 돌려보며 논의하는 과정을 거쳤고, 노무현 대통령도 연설문과 관련있는 행정관까지 불러 토론을 통해 문안을 다듬는 작업을 했다고 합니다. 독회에서는 누구나 어떤 얘기도 자유롭게 개진할 수 있다는 암묵적 동의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런 제도를 통해 연설문의 완성도를 높이고 실수를 줄일 수 있었다는 게 이들의 지적입니다.

대통령의 말은 아무리 신중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특히 대외관계에서는 충분히 준비된 발언을 신중하게 해야 합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자서전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정상회담에서 나는 명확한 논리와 쉬운 어법으로 상대편이 편안하게 마음을 열 수 있도록 했다. 조리 있게 말하려고 노력했다. 대화 중에는 꼭 상대가 새길 만한 알맹이를 챙겨 넣었다. 그래서 준비를 많이 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치열하게 협상해야 할 윤 대통령이 깊이 새겨야 할 말입니다.

[송두율 칼럼] 눈먼 자들과 눈뜬 자들

노벨문학상 수상자 조제 사라마구는 사회현실 참여와 비판을 멈추지 않았던 작가로 인정받습니다. 송두율 전 독일 뮌스터대 교수는 그의 대표작인 '눈먼 자들의 도시'와 '눈뜬 자들의 도시'가 현실 정치와 항상 충돌하면서 문제의식을 마술적인 사실주의 문체로 승화시킨 작품이라고 평합니다. 이들 작품을 통해 한국 정치의 일그러진 모습을 조명합니다. 👉 칼럼 보기

[중앙시평] 지정학 리스크와 한국 경제

지정학과 경제가 연결돼 판을 흔드는 격동의 시대가 전 세계에 닥쳤습니다. 한국의 운명도 당면한 복합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김병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장은 지정학 충격이 경제로 파급되고 금융 교란까지 더해지면 한국은 '퍼펙트 스톰'이 될 수 있는데도 우리는 한가하다고 경고합니다. 정부와 기업, 학계, 정치가 비상한 각오를 가져야 한다는 겁니다. 👉 칼럼 보기

작가와 대화를 시작하세요
이충재인사이트

이충재

한국일보 전 주필. 1987년 한국일보에 입사해 사회부장, 편집국장, 수석논설위원, 주필을 역임했습니다. 만 35년 간의 기자 생활을 마치고 2022년 12월 퇴사했습니다. 오랜 기자 경험을 토대로 객관적이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우리 사회 현안을 들여다보려고 합니다.

당신이 놓친 글
보수는 망했다
보수는 망했다
by 
이충재
2024.12.9
김건희 여사, '계엄 선포'와 무관할까
김건희 여사, '계엄 선포'와 무관할까
by 
이충재
2024.12.5
'윤석열 친위 비상계엄', 충암파 소행 가능성
'윤석열 친위 비상계엄', 충암파 소행 가능성
by 
이충재
2024.12.4
감사원, '대통령 소속'부터가 문제다
감사원, '대통령 소속'부터가 문제다
by 
이충재
2024.12.3
당신이 놓친 글
보수는 망했다
by 
이충재
2024.12.9
보수는 망했다
김건희 여사, '계엄 선포'와 무관할까
by 
이충재
2024.12.5
김건희 여사, '계엄 선포'와 무관할까
'윤석열 친위 비상계엄', 충암파 소행 가능성
by 
이충재
2024.12.4
'윤석열 친위 비상계엄', 충암파 소행 가능성
감사원, '대통령 소속'부터가 문제다
by 
이충재
2024.12.3
감사원, '대통령 소속'부터가 문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