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도 못 피한 '순방 리스크'
윤석열 대통령의 '순방 리스크'가 이번 UAE 순방에서도 어김없이 재연됐습니다. '역대급 경제 외교'란 자평에도 불구하고 '아랍에미리트의 적은 이란' 발언으로 지지율이 답보하거나 소폭 상승에 그쳤습니다. 23일 발표된 윤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율은 전주보다 0.6%포인트 떨어진 38.7%로 집계됐습니다. 앞서 22일의 한국갤럽 조사에선 지지율이 36%로 나타났는데, 직전에 비해 상승 폭이 둔화됐습니다. 전문가들 사이에선 "여전히 '순방 징크스'를 털어내지 못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역대 정부에선 대통령 해외 순방을 지지율 상승의 호재로 여겼습니다. 대통령이 외교 무대에 나서면 지지율이 3~5% 정도 오르는 게 상례였습니다. 그런데 지지율이 소폭 하락하거나 1% 정도 올랐다는 것은 실은 점수를 크게 까먹었다는 얘깁니다. 여론조사에서 응답자들이 윤 대통령 부정평가 이유로 꼽은 '외교'가 직전 조사 대비 13%포인트나 상승한 것이 이를 보여줍니다. 특히 부정평가 이유 2위를 기록한 '발언 부주의'는 직전 조사에선 아예 등장하지도 않았습니다.
윤 대통령은 주요 순방 때마다 크고 작은 말 실수와 논란이 터져나왔습니다. 야당은 이번 순방에서 윤 대통령이 "'제2의 외교참사'를 불렀다"며 고강도 비난을 쏟아냈고, 대국민 사과와 외교라인 교체까지 요구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정략적인 프레임'에 따른 악의적 공격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하고 있지만 역부족으로 보입니다. 외교가에선 다자 외교 행사의 경우 돌발 변수가 많은 점을 감안해도 대통령실과 외교부의 대통령 보좌, 사전 준비가 치밀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됐습니다. 특히 윤 대통령의 즉흥적인 태도가 가장 큰 원인이라는 데는 별 이견이 없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세 차례에 걸친 해외 순방에서도 갖은 논란으로 지지율에 영향을 받았습니다. 지난해 6월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때는 이원모 대통령실 인사비서관 배우자가 동행한 것으로 알려져 지지율이 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지난해 9월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의 장례식은 참배 취소 논란을 겪었고, 같은 달 유엔 총회 미국 순방 기간에는 비속어 논란으로 외신 뉴스에까지 오르내렸습니다. 순방 이후 윤 대통령 지지율은 5%포인트 떨어졌습니다. ‘날리면’ 논란은 지난해 11월 동남아 순방길에 MBC 취재진 전용기 탑승을 배제하며 또 다른 논란으로 비화됐습니다.
외교 전문가들은 순방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선 윤 대통령의 공개 발언 기회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외교안보 참모들이 행사에 앞서 세세하게 브리핑을 하지만 윤 대통령이 잘 듣지 않는다는 얘기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대통령 발언에 참모들이 세세하게 개입하는 것은 불가능한 만큼 대통령 본인이 정확히 이해하고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번 UAE 발언도 윤 대통령이 국제관계에 대한 잘못된 인식에서 비롯됐다는 분석이 지배적입니다. 윤 대통령 스스로가 실언 한 마디가 얼마나 큰 파문을 일으키는지 깨닫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 지지율이 당분간 30%대 후반대에 머물거나 하락세를 벗어나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옵니다. 당장 이란과의 갈등이 해소되지 않은 게 악재입니다. 우리 정부 해명에도 불구하고 이란은 23일 "한국 정부는 실수를 바로잡으려는 의지를 보였지만 충분하지 않았다"고 밝혀 여진이 계속될 걸로 보입니다. 순방 성과 논란과 함께 돌출된 국민의힘 전당대회 개입 논란도 변수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을 주도한 지역이 대구·경북(TK) 지역인 게 이를 입증합니다. 보수층과 50대 등에서도 이런 경향이 두드러졌습니다. 나경원 전 의원 출마를 둘러싼 갈등이 계속되면 지지율이 더 출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태원 참사' 수사와 국정조사가 끝났지만 제대로 된 진상규명은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지휘 감독 책임자들은 경찰 수사를 방패막이로 법망을 빠져나갔습니다. 임재성 변호사는 처벌 이외의 책임이 사라진 우리 사회의 모습을 개탄합니다. 책임을 이행하지 않은 권력에 처벌보다 더 큰 불이익이 있어야 하지만, 불행히 우리의 눈과 귀는 처벌만을 좇고 있다는 겁니다. 👉 칼럼 보기
[뉴스룸에서] "셧업, 닥쳐. 우리도 말 좀 하자."
우리 사회에서 약자와 소수자는 두 번 울어야 합니다. 권리와 기회의 박탈에, 그리고 이런 차별을 고발하는 목소리조차 낼 수 없는 현실에 절망합니다. 한국일보 최문선 국제부장은 올해 골든글로브 시상식에서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을 받은 아시아계 여성 미셀 여의 수상소감 한 마디가 아시아 여성을 비롯한 소수자들의 심금을 울렸다고 말합니다. 👉 칼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