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주술'에 빠진 대통령 부부
온갖 의혹이 난무하는 '김건희 국감'에서 가장 놀라웠던 건 증인으로 출석한 강혜경씨의 주술 관련 발언이다. 명태균씨가 윤 대통령을 '장님 무사', 김건희 여사를 '앉은뱅이 주술사'로 칭하며 장님의 어깨에서 주술을 부리라고 얘기했다는 대목에서 소름이 돋았다. 명씨와 김 여사가 첫 만남에서 이런 '영적 대화'를 나눴다는 것도 황당하지만, 김 여사가 배후에서 국정에 관여하고 있다는 의혹을
'명태균 게이트', 검찰 또 팔짱끼고 있다
명태균씨를 둘러싼 의혹이 날로 확대되고 있지만 검찰 수사는 좀처럼 진척이 없어 비판이 커집니다. '공천 개입' '여론조사 조작' 등 제기된 의혹들이 모두 중대하고 심각한 범죄행위에 해당하는데도 검찰은 이상하리만치 신중한 모습입니다. 명씨 입에 두 달 가까이 정국이 요동치는데도 명씨를 소환조사할 기미조차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검찰 수뇌부도 지방 검찰에 수사를 맡겨 둔채 팔짱을
한동훈, 오판했다
'맹탕 회담'으로 끝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의 회동을 두고 한 대표가 오판을 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윤 대통령에게 악재가 쏟아지는 최근의 정국 상황에 대해 지나치게 낙관적 인식을 가진 것이 패인이라는 분석입니다. 야당의 '김건희 특검법' 발의에 한 대표가 너무 일찍 선을 그은 것도 실책으로 보입니다. 정치권에선 윤 대통령의 오만함과 치졸함에 대한
윤 대통령의 공수처 고사 전략
윤석열 대통령이 임기만료가 임박한 공수처 검사들에 대한 연임 재가를 하지 않으면서 끊임없는 공수처 무력화 시도에 비판이 커집니다. 올초 신임 공수처장 지명 절차를 넉달이나 뭉갠 데 이어 수사 검사들 임명을 재가하지 않는 것이 눈엣가시같은 공수처의 수사 동력을 축소시키려는 의도라는 지적입니다. 윤석열 정부는 공수처의 내년 수사 예산도 대폭 삭감해 이런 속셈을 노골적으로
한동훈, '도이치 무혐의' 책임 없나
김건희 여사에 대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무혐의 결정으로 검찰에 대한 비난이 커지는 가운데 당시 법무부 장관인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책임론도 이어집니다. 법무부 장관 재직시 검찰이 제대로 수사하지 않고 사건을 뭉개는데도 별다른 조치 없이 동조했다는 지적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국민 눈높이'를 강조하는 건 내로남불이라는 주장이 진보진영뿐 아니라 보수 일각에서도 나옵니다. 한 대표가
[칼럼] '김건희 나라'의 아부꾼들
기어코 김건희 여사 무혐의로 결론 내린 검찰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발표에서 따로 주목한 건 발표 시점이다. 보궐선거 결과가 나온 17일로 잡은 건 부산 금정구청장 선거에 영향을 주지 않으려는 속셈일 터지만, 바로 다음날이 서울중앙지검 국감이라는 점에서 의문이 들었다. 국감을 앞둔 부처는 사전에 무리한 정책 발표를 미루는 통상적인 관행에 비쳐볼 때 이해하기
'윤석열 당선'의 정당성이 흔들린다
명태균발 대선 경선 조작 정황이 윤석열 정부의 정통성을 뒤흔들고 있습니다. 국민의힘 대선 후보 경선이 조작된 여론조사로 왜곡됐다면 대선의 뿌리부터 정당성이 훼손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비단 국민의힘 후보 경선뿐 아니라 윤 대통령 정치 입문 후 대선 본선 때까지 실시된 명씨의 여론조사 가운데 다수가 조작됐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정치권에선 명씨의 대선 시기 여론조사
'명태균 입'이 한동훈 살렸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용산을 향해 맹공을 퍼부으며 기세를 올리는데는 최근 불거진 '명태균 사태'가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명씨가 김건희 여사 공천 개입 의혹을 비롯해 윤 대통령 부부와의 친분 등을 연일 폭로하면서 한 대표가 역공을 취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했다는 분석입니다. 한 대표가 명씨의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점도 한 대표가
불리하면 침묵 뒤에 숨는 윤 대통령
최근 명태균씨와 김건희 여사의 각종 의혹이 정국 핵심 이슈로 떠올랐지만 윤석열 대통령이 침묵하고 있어 비판이 고조됩니다. 이들 의혹은 윤 대통령과 김 여사가 내용을 가장 잘 알고 있는데도 대통령실에 해명토록 해 신뢰를 훼손했다는 지적입니다. 그나마도 이후엔 명씨 발언에 대한 대통령실의 해명이 일체 나오지 않아 아예 대응을 포기한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옵니다.
검찰, '도이치 사건' 외통수 몰렸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 등 여당 내에서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을 받는 김건희 여사 기소를 주장하면서 검찰이 외통수에 몰렸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기소를 하기에는 용산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고, 그렇다고 불기소를 할 경우 국민적 분노에 더해 여당 일각의 반발로 '김건희 특검법' 통과에 불을 지피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칫 검찰이 모든
[칼럼] 농락당한 대통령 부부
대통령실은 강하게 부인하고 있지만 명태균씨가 단순한 정치 컨설턴트가 아닌 건 분명하다. 그러지 않고서는 아직 기세등등한 윤석열 대통령에게 하야와 탄핵을 언급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다. 어느 간 큰 컨설턴트가 거리낌 없이 '내가 만든 정권' 운운할 수 있는지 따져볼 필요도 없을 것이다. 명씨가 대선기간에 한 역할을 보면 그의 말을 허장성세로 치부할 것도 아니다.
김 여사 석박사 학위 취소, 시간문제다
숙명여대가 김건희 여사가 쓴 석사논문 표절 의혹 조사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논문 취소는 시간문제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그간 숙명여대는 조사를 시작한지 2년이 넘도록 아무 결론을 내리지 않았는데 총장이 바뀌면서 검증 작업에 속도를 내는 모습입니다. 학계에서는 이미 김 여사 논문 표절에 대한 객관적 자료가 충분한 만큼 2~3개월 내에 석사논문 취소 결정이 나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