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기자회견은 않고 또 국무회의 '독백'
윤석열 대통령이 18일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TV생중계로 진행하면서 일방적 메시지 발산 논란이 다시 불거졌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수해 복구 대책과 우크라이나 방문 등 최근의 국정 현안에 대해 장시간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정작 논란이 되는 수해 중 우크라이나 방문 강행과 김건희 여사 명품 쇼핑 논란 등 국민들이 관심을 갖는 사안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정치권과 언론계에선 국무회의에서의 대국민담화 형식이 아니라 기자회견을 열어 산적한 국민의 궁금증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대통령실은 지난 5월 윤 대통령 취임 후 두 번째 기자회견을 조만간 갖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당시 대통령 지지율이 상승 국면에 접어들면서 국정운영에서 자신감을 회복한 데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 따랐습니다. 윤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출근길 문답을 중단한 이후 언론과의 직접 소통을 꺼려왔습니다. 역대 대통령이 거의 거르지 않았던 신년 기자회견을 건너뛰었고, 심지어 취임 1주년 기자회견도 하지 않았습니다. 이런 이유로 두 번째 기자회견은 '불통 대통령'의 이미지를 벗을 수 있는 기회로 여겨졌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실이 검토 중이라던 기자회견은 두 달이 다 되도록 열릴 기미가 보이지 않습니다. 당초 출입기자단과 기자회견 준비 작업까지 진행 중이었지만 지금은 논의조차 중단된 상황으로 알려졌습니다. 대통령실은 프랑스·베트남 방문, 나토 순방 등의 외교 행사와 바쁜 국정 일정으로 지연될 뿐이라고 하지만 언론계에선 윤 대통령이 기자회견에 별 의지가 없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옵니다.
윤 대통령은 그간 언론과의 접촉을 피하는 대신 국무회의 등을 생중계로 진행하며 직접 국정홍보에 나서는 방식을 택했습니다. 지난 3월 한일 정상회담이 논란을 빚자 국무회의에서 23분간 대국민담화를 쏟아낸 것을 시작으로 윤 대통령이 주재하는 국무회의 거의 대부분이 같은 형식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정 현안을 논의하는 국무회의에서, 대통령이 하고 싶은 말만 하는 방식이 적절하느냐는 비판이 많지만 아랑곳하지 않는 모습입니다.
지금의 상황은 그리 간단하지 않아 보입니다. 지난주 갤럽 여론조사에서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올해 최대 낙폭인 6%나 떨어진 데서 나타나듯 국민에게 해명해야 할 것이 너무 많기 때문입니다. 당장 지난 15일 윤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전격 방문을 두고 막대한 수해 피해를 먼저 챙겼어야 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김 여사의 리투아니아 방문 도중 '명품 쇼핑' 보도에 대해서도 대통령실은 공식적인 입장을 내지 않겠다고 밝혀 국민적 의구심이 커지는 상황입니다.
서울-양평 고속도로 백지화 파장도 가라앉지 않는 양상입니다. 윤 대통령으로선 대통령 공약인 양평 고속도로 백지화 대책과 처가 일가의 땅 보유에 대한 입장을 소상히 밝힐 필요가 있습니다.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와 관련해서도 윤 대통령이 기시다 일본 총리의 요청을 사실상 승인했다는 평가로 민심은 흉흉합니다. 오염수 방류에 대한 생각과 향후 대책에 대한 진솔한 설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여당 내에서도 제기됩니다.
산적한 궁금증을 풀기에는 국무회의 석상에서의 일방적인 담화만으로는 부족합니다. 독백 형식의 메시지 발신의 한계는 뚜렷할 수밖에 없습니다. 국민들의 의구심은 더 커지고 윤 대통령의 독단적 이미지만 강화될 수 있습니다. 해법은 국민을 대신한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을 통한 의혹과 의문점 해소입니다. 민주국가에서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국민에 대한 의무입니다. 국민들은 기자회견을 피하지 않고 당당히 국민 앞에 설 수 있는 대통령을 바랍니다.
물난리에 대한 국민의 분노가 '#무정부 상태' 해시태그로 번지는 모습입니다. 경향신문 이기수 편집인은 대통령의 우크라이나행과 김건희 여사의 '명품쇼핑', "대통령이 당장 서울로 뛰어가도 상황을 크게 바꿀 수 없다"는 대통령실 설명이 수해 상황과 교차한 순간, 폭풍이 일어났다고 말합니다. 1년 전 반지하촌, 9개월 전 이태원, 오늘 물난리에서 사람들이 국가는 어디 있는가 묻는다고 개탄합니다. 👉 칼럼 보기
[이경훈의 도시건축 만보] 망했다! 서울
오세훈 서울시장의 핵심 정책으로 서울의 재건축 사업을 신속하게 진행한다는 취지의 신통기획에 대한 논란이 적지 않습니다. 이경훈 국민대 건축학부 교수는 주민과 사업자 모두 승자가 되는 묘수처럼 인식되지만 사실상 도시 공공 기여는 없는 방식이라고 지적합니다. 혜택을 받는 단지는 환호를 지르겠지만 나머지 서울시민이 짊어질 부담은 만만치 않다는 겁니다. 👉 칼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