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또 '읍소', 선거 없었어도 그랬겠나
국민의힘이 총선 패배 위기감에 일제히 '읍소 모드'로 돌아선 가운데 이 전략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낼지가 관심입니다. 정치권에선 읍소 전략이 지지층을 결집시켜 불리한 판세를 어느 정도 만회할 수 있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습니다. 여권 입장에선 최소한 '샤이 보수'를 투표장에 나오게 할 수는 있다는 기대가 큽니다. 하지만 이번 선거에선 '정부심판론'이 워낙 공고해 별다른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구체적인 반성의 내용이 없는데다 무엇보다 핵심 당사자인 윤석열 대통령의 '마이 웨이'가 상황을 더 꼬이게 한다는 지적입니다.
보수정당은 선거 때마다 분위기가 심상치 않다 싶으면 읍소 전략을 썼고, 이는 대체로 먹혔습니다. 한나라당은 2004년 17대 총선에서 '차떼기당' 사건과 노무현 대통령 탄핵 역풍으로 지지율이 곤두박질치자 천막 당사를 세우는 등 속죄하는 모습으로 톡톡히 효과를 봤습니다. 세월호 참사 직후 2014년 치러진 6·4 지방선거에서도 읍소 전략은 위력을 발휘했습니다. 당시 분노한 민심에 직면한 새누리당은 사과의 큰절 등으로 완패할 거라는 예상을 깨고 '절반의 성공'을 거뒀습니다.
이번에도 국민의힘이 읍소 전략을 선택한 것은 상황이 그만큼 급박해졌다고 봤기 때문입니다. 이종섭 전 주호주대사 도피성 출국에 의료 갈등 장기화, 윤 대통령의 '대파 875원' 발언 등으로 정권심판론이 갈수록 힘을 얻는 분위기와 무관치 않습니다. '운동권 청산' '이재명·조국 심판' 등의 카드가 먹히지 않자 최후의 수단으로 여론에 무릎꿇는 방법을 택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정치권에선 유권자들의 동정심을 유발하려는 전략이 통할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전망이 나옵니다. 우선 진정성 측면에서 유권자들을 설득시키지 못할 거라는 측면에서입니다. '악어의 눈물'인지 아닌지를 판가름 하는 것은 구체적인 반성의 내용인데 그 부분이 빠져 있기 때문입니다. 여당에서 나오는 발언이라는 게 "민심 따르는 당을 만들겠다" "용감하게 쓴소리하겠다" "이제 정신차리겠다"는 등 일단 위기만 넘기고 보자는 식이 대부분입니다.
오히려 한동훈 국민의힘 비대위원장 등 지도부의 말은 점점 거칠어지는 양상입니다. 길거리 유세에서 이재명 대표를 겨냥해 "정치를 개같이 하는 사람"이라고 하고, 민주당을 향해 "쓰레기 같은 말"을 한다고 비난했습니다. '반성'과 '막말'은 같이 하기 어려운 명제입니다. 자신에 대한 반성은 없고 거친 언사로 상대를 공격하는 이중적인 태도는 유권자들에게 신뢰를 주기 어렵습니다.
여당의 읍소 전략이 먹히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핵심 당사자인 윤 대통령의 오만한 태도라는 게 전문가들의 일치된 견해입니다. 윤 대통령은 1일 대국민담화에서도 사과와 반성의 빛은 보이지 않고 자화자찬에 골몰했습니다. 화물연대 파업 강경대응, 건폭몰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3자변제, 원전 확대 등 일방적으로 밀어붙인 정책을 들며 정부가 다 잘해왔다는 식으로 말했습니다. 불통과 '마이 웨이' 기조를 거듭 천명한 셈입니다.
여권의 읍소 전략이 통하려면 국정 운영을 실패로 이끈 대통령과 여당의 진솔한 반성과 사과가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윤 대통령은 "인기 없는 정책도 과감하게 실천했다"고 딴소리를 하고, 국민의힘은 막연히 잘하겠다는 빈말만 되풀이 하는 모습입니다. 그러니 "국민을 바보로 아느냐"는 비난이 나옵니다. 총선이 없었어도 여권이 국민에게 고개를 조아렸겠는가를 생각하면 답은 분명해집니다.
총선을 앞두고 짙어지는 정권심판 분위기의 저변에는 고단한 민생이 있습니다. 한겨레신문 이봉현 경제사회연구원장은 경제 형편이 조금만 나았다면 여당이 집권 2년 만에 "야당 200석만은 막아달라"며 읍소할 일은 없을 터라고 지적합니다. 가장 걱정되는 건 민생고의 두 줄기인 자영업 매출 부진과 고물가라고 진단합니다. 👉 칼럼 보기
[특파원 칼럼] 미국, 다양성 포기하진 않았다
미국 사회 전반에서 다양성과 포용성에 반대하는 분위기가 커지는 현상은 우려할만합니다. 경향신문 김유진 워싱턴 특파원은 그럼에도 민주당과 공화당 모두 행정, 입법, 사법 등 공적 영역에서 다양한 배경을 지닌 이들의 참여를 확대해야 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고 말합니다. 미 의회만 해도 역사상 가장 다양한 의회라는 업적을 세웠다고 강조합니다. 👉 칼럼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