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료 구독자 전용
무료 회원 공개
전체 공개
심우정 '단죄', 물 건너가나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에 대한 구속영장이 지난 14일 기각되면서 유사한 혐의를 받고 있는 심우정 전 검찰총장 수사도 난기류에 빠졌습니다. 비상계엄 당일 검찰이 동원된 정황이 다수 포착됐지만, 박 전 장관에 대한 신병 확보 실패로 혐의 입증이 어렵게 됐습니다. 자칫 내란 과정에서 검찰의 역할이 미궁에 빠질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법조계에서는 심 전 총장의 혐의가 내란 동조 외에 윤석열 즉시항고 포기와 '김건희 봐주기' 수사 등 여럿인 만큼 수사의 고삐를 늦춰서는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심우정에 대한 단죄는 국민을 배반한 '윤석열 검찰'의 종언이라는 점에서도 의미가 크기 때문입니다. 내란 발생과 수습의 전 과정에서 검찰은 핵심적인 역할을 했을 개연성이 큽니다. 비상계엄 당일 박 전 장관은 윤석열 지시에 따라 검찰을 동원하려 했고, 심 전 총장은 이를 이행한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계엄 선포 직후 심 전 총장과 3차례 통화했고, 이후 대검 소속 검사가 방첩사와 연락한 뒤 중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
아직 댓글이 없습니다.